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반응형
Link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내란수괴 윤석열
- 내란수괴
- 백준
- Python
- 프림
- 분할정복
- 파비우스 전략
- ccw
- 비상계엄
- 투 포인터
- 유니온 파인드
- DP
- 오블완
- dfs
- union find
- 내란죄
- 구조론
- Prim
- 민주주의
- 재귀함수
- dfs 백트래킹
- 윤석열 내란수괴
- 티스토리챌린지
- BFS
- 왈왈왈
- LCA
- 다익스트라
- 윤석열
- 알고리즘
- 이분 탐색
Archives
- Today
- Total
Toolofv 님의 블로그
인류라는 나무 본문
지구에 처음 세포가 출현한 이후 그 세포로부터 모든 생명이 분기되었다. 누가 말했는지는 모르지만 불교에는 부처가 되려고 하지 말고 부처인 것을 발견하라는 말이 있다. 우리는 하나였다. 하나로부터 마치 나무처럼 여러 가지로 펼쳐져 현재 생명들이 있게 되었다. 뿌리부터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 부처인 것을 발견하라는 참 뜻일 것이다.
이 나무에 80억 이상의 가지가 있다. 가지를 타고 올라가보면 복잡하게 얽혀 있다. 그렇지만 알 수 있는 것은 결국 처음의 뿌리는 하나였다는 거다. 비단 생명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우리는 각자의 주어진 환경에서 다른 가지를 낳아야 한다. 그 연결을 후대로 계속 이어가는 것이다. 지금 나의 움직임은 80억분의 1일 수 있지만 어쨌든 이 나무의 움직임이다.
바람이 불어 가지가 흔들려도 나무가 흔들리는 것이다. 가지가 생장하는 것도 나무가 생장하는 것이다. 생장하는 과정에서 각자의 가능성을 남김없이 실현해보는 거다. 그 가능성은 후대로 연결된다. 출산같은 실제 생산에만 한정되는 개념이 아니다. 무엇이 되었든 인류의 활동반경을 넓히는 거다. 궁극적으로는 자연과 그 너머의 뿌리가 모두 연결되어 있다. 실패도 의미가 있다.
당신은 뿌리부터 연결된 줄을 갖고 이제 탐험을 해야 한다. 오늘 당신의 하루는 인류를 대표해서 새로운 길을 탐험해보는 것이었다.

반응형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도마와 칼, 아르키메데스의 원주율(π) 구하기와 샌드위치 정리(조임 정리, Squeeze Theorem) (0) | 2025.09.26 |
|---|---|
| 언어, 사회와 블록체인 원리 (0) | 2025.06.26 |
| 개인의 시점을 뒤집어 보면 시스템이 보인다. (1) | 2025.02.07 |
| 우리의 방에 미래가 있었다. (3) | 2025.01.22 |
| 노무현 대통령의 글쓰기 원칙 (1)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