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백준
- 비상계엄
- 유니온 파인드
- 구조론
- dfs
- 프림
- 이분 탐색
- union find
- BFS
- 다익스트라
- 내란수괴 윤석열
- LCA
- 알고리즘
- 윤석열
- 재귀함수
- 왈왈왈
- 윤석열 내란수괴
- 분할정복
- DP
- Prim
- ccw
- Python
- 파비우스 전략
- 오블완
- dfs 백트래킹
- 내란수괴
- 내란죄
- 티스토리챌린지
- 민주주의
- 투 포인터
- Today
- Total
Toolofv 님의 블로그
[Python] 백준 - 3015 오아시스 재결합 본문
백준 - 3015 오아시스 재결합
첫째 줄에 줄에서 기다리고 있는 사람의 수 N이 주어진다. (1 ≤ N ≤ 500,0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각 사람의 키가 나노미터 단위로 주어진다. 모든 사람의 키는 231 나노미터 보다 작다. 사람들이 서 있는 순서대로 입력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문제
오아시스의 재결합 공연에 N명이 한 줄로 서서 기다리고 있다.
이 역사적인 순간을 맞이하기 위해 줄에서서 기다리고 있던 백준이는 갑자기 자기가 볼 수 있는 사람의 수가 궁금해 졌다.
두 사람 A와 B가 서로 볼 수 있으려면, 두 사람 사이에 A 또는 B보다 키가 큰 사람이 없어야 한다.
줄에 서있는 사람의 키가 주어졌을 때, 서로 볼 수 있는 쌍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줄에서 기다리고 있는 사람의 수 N이 주어진다. (1 ≤ N ≤ 500,0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각 사람의 키가 나노미터 단위로 주어진다. 모든 사람의 키는 231 나노미터 보다 작다.
사람들이 서 있는 순서대로 입력이 주어진다.
출력
서로 볼 수 있는 쌍의 수를 출력한다.
문제해결방법- 서칭 참고
이 문제는 백지 상태에서 떠올리기 힘든 것 같다.
d[ i ]가 왼쪽의 볼 수 있는 사람을 카운팅하는 개념이다. '쌍'의 수를 구하는 것이라 결국 총합은 같다.
1) 스택에 들어갈 때 4, 5번 인덱스처럼 키가 같다면 4번이 스택에서 빠져도 같은 사람들 수가 누적되어 카운팅되도록 cnt 에 += 1 를 해준다. 키가 같은 사람이 없다면 cnt 는 1씩 기록되는 거다.(cnt가 2인 사람이 있다면 그 앞의 같은 키의 사람은 스택에서 이미 빠져나갔기 때문에 이 걸 반영하는 거다.)
2) 큰 키는 스택에서 더 큰 키를 만나기 전에는 빠지지 않는다. 고로 스택에 마지막까지 빠지지 않고 남아있는 사람은 큰 키다. ans[ i ]에 추가로 += 1 를 해야 한다. 3, 7번의 사람은 앞의 큰 키를 가진 사람만 본다. 반대로 앞의 키가 작거나 같은 사람들은 스택에서 빠지게 된다.
-코드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d = [int(input()) for _ in range(n)]
stack = [[0, 0]]
ans = [0 for _ in range(n)]
for i in range(n):
cnt = 1
while stack and stack[-1][0] <= d[i]:
lth, cnt = stack.pop()
if lth < d[i]:
ans[i] += cnt
cnt = 1
elif lth == d[i]:
ans[i] += cnt
cnt += 1
if stack:
ans[i] += 1
stack.append([d[i], cnt])
print(sum(ans))
import sys
sys.setrecursionlimit(10**6)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d = [int(input()) for _ in range(n)]
stack = [[0, 0]]
ans = [0 for _ in range(n)]
for i in range(n):
while stack and stack[-1][0] < d[i]:
lth, cnt = stack.pop()
ans[i] += cnt
if stack and stack[-1][0] == d[i]:
lth, cnt = stack.pop()
ans[i] += cnt
if stack:
ans[i] += 1
stack.append([d[i], cnt+1])
elif stack and stack[-1][0] > d[i]:
ans[i] += 1
stack.append([d[i], 1])
if not stack:
stack.append([d[i], 1])
print(sum(ans))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백준 - 2667 단지번호붙이기 (1) | 2024.06.11 |
---|---|
[Python] 백준 - 1260 DFS와 BFS (2) | 2024.06.11 |
[Python] 백준 11049 - 행렬 곱셈 순서 (0) | 2024.06.05 |
[Python] 백준 2293 - 동전 1 (1) | 2024.06.05 |
[Python] 백준 2629 - 양팔저울 (0) | 2024.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