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내란수괴 윤석열
- 오블완
- 구조론
- 이분 탐색
- 민주주의
- 유니온 파인드
- Python
- 내란죄
- 다익스트라
- 내란수괴
- ccw
- 프림
- 윤석열 내란수괴
- dfs 백트래킹
- 재귀함수
- dfs
- 투 포인터
- LCA
- DP
- 분할정복
- 왈왈왈
- BFS
- 알고리즘
- 비상계엄
- 파비우스 전략
- Prim
- union find
- 티스토리챌린지
- 윤석열
- 백준
- Today
- Total
Toolofv 님의 블로그
[Python] 백준 - 1707 이분 그래프 본문
백준 - 1707 이분 그래프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K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그래프의 정점의 개수 V와 간선의 개수 E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
www.acmicpc.net

문제
그래프의 정점의 집합을 둘로 분할하여, 각 집합에 속한 정점끼리는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분할할 수 있을 때, 그러한 그래프를 특별히 이분 그래프 (Bipartite Graph) 라 부른다.
그래프가 입력으로 주어졌을 때, 이 그래프가 이분 그래프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K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그래프의 정점의 개수 V와 간선의 개수 E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 각 정점에는 1부터 V까지 차례로 번호가 붙어 있다. 이어서 둘째 줄부터 E개의 줄에 걸쳐 간선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는데, 각 줄에 인접한 두 정점의 번호 u, v (u ≠ v)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출력
K개의 줄에 걸쳐 입력으로 주어진 그래프가 이분 그래프이면 YES, 아니면 NO를 순서대로 출력한다.
제한
- 2 ≤ K ≤ 5
- 1 ≤ V ≤ 20,000
- 1 ≤ E ≤ 200,000
문제해결방법

1. 위 그림과 같은 그래프가 이분그래프이다. 연결된 그래프의 노드에 색깔을 칠했을 때 번갈아 색깔이 등장하면 되는 개념이다.
2. dfs나 bfs로 그래프를 탐색하고 연결하되 방문리스트를 2개로 구분해 저장하고 다음 노드를 방문할 때 색깔이 겹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코드가 있으면 된다. (그래프가 끊어져서 2개 이상 있을 수도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다.)
3. dfs에서 return이 있고, 재귀함수 호출 부분을 저장하면 끝까지 파고들어간 후 연쇄적으로 결과를 저장하거나 판정할 수 있다.
- 코드
1. dfs
import sys
sys.setrecursionlimit(10**6)
input = sys.stdin.readline
def dfs(idx, chk):
v[idx] = chk
for next in graph[idx]:
if v[next] == 0:
res = dfs(next, -chk)
if not res:
return False
elif v[idx] == v[next]:
return False
return True
for _ in range(int(input())):
n, m = map(int, input().split())
graph = [[] for _ in range(n+1)]
v = [0 for _ in range(n+1)]
for i in range(m):
a, b = map(int, input().split())
graph[a].append(b)
graph[b].append(a)
for i in range(1, n+1):
if v[i] == 0:
res = dfs(i, 1)
if not res:
print("NO")
break
else:
print("YES")
2. bfs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sys.setrecursionlimit(10**6)
input = sys.stdin.readline
def bfs(idx, chk):
q = deque()
q.append(idx)
v[idx] = chk
while q:
idx = q.popleft()
for next in graph[idx]:
if v[next] == 0:
v[next] = -v[idx]
q.append(next)
elif v[next] == v[idx]:
return False
return True
for _ in range(int(input())):
n, m = map(int, input().split())
graph = [[] for _ in range(n+1)]
v = [0 for _ in range(n+1)]
for i in range(m):
a, b = map(int, input().split())
graph[a].append(b)
graph[b].append(a)
for i in range(1, n+1):
if v[i] == 0:
res = bfs(i, 1)
if not res:
print("NO")
break
else:
print("YES")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백준 - 10872 팩토리얼 (0) | 2024.10.28 |
---|---|
[Python] 백준 - 7562 나이트의 이동 (0) | 2024.10.23 |
[Python] 백준 - 11066 파일 합치기 (0) | 2024.10.21 |
[Python] 문자열 검색 - 라빈-카프 알고리즘(Rabin-Karp Algorithm) (0) | 2024.10.18 |
[Python] 백준 - 2565 전깃줄 (0) | 2024.10.15 |